지난 13일 일요일 영국 콘월에서 막을 내린 G7 정상회의의 또 다른 주인공은 바로 한국이었다. G7정상회의에는 회원국 외에도 주로 유럽연합(EU)의 대표들이 함께 참석하는데, 올해는 인도, 한국, 호주, 그리고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초청됐다. 이번 G7 정상회담에 초청된 4개국들 중 인도, 호주,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의장국인 영국과 관계있는 영연방 국가들인 만큼 한국이 사실상 유일한 초청국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또한 한국은 2년 연속 G7 정상회의에 초청받았기도 했다.
G7(Group of Seven)은 소위 선진국 7개 나라로 구성된 모임으로 캐나다와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영국, 미국이 속해 있다. 지난 1998년 러시아가 합류하여 한때 ‘G8’이 창설되기도 했지만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강제 병합으로 명단에서 제외됐다. 중국은 경제 규모가 크고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회원국에 포함된 적이 없다. 1인당 재산 규모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G7 회원국들이 말하는 선진적인 경제로 간주되지 않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2일 영국 콘월에서 열린 G7 확대회의 세션에서 의장국 정상인 영국 보리스 존슨 총리 바로 오른쪽 자리에 착석했다. 의장 바로 옆, 그 중에서도 오른쪽이 상석임을 감안했을 때 존슨 총리가 문 대통령을 오른쪽 옆자리에 앉힌 것은 달라진 한국의 위상을 실감하게 한다.
이번 G7 성명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원 재조사를 촉구하는 내용도 포함되었으며, 코로나19 대응과 백신 협력 부분에서 한국의 역할에 대한 국제사회의 높아진 기대감이 반영된 듯 각국 정상들이 “한국은 월드 챔피언”이라며 K-방역을 입 모아 칭찬했다.
한편 비록 초청국인 한국은 공동성명에는 참여하지 않았지만 러시아와 중국에 대응해 주요국간 공동 전선을 구축하자는 취지로 이번 회담에 초청된 만큼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양자택일’ 압박이 커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올해 G7 정상회의 의장인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한국, 호주, 인도, 그리고 남아프리카공화국까지 4개국과 G7을 아울러 ‘민주주의(Democracy)11’이라는 의미로 ‘D11’ 확대 개편하자는 안건을 개막 직전 성명에서 규정했으나, 일본이 반대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일본 스가 총리와의 G7 계기 약식 회담에서 과거사 문제 해결 의지를 스가 총리에게 전달하고 한일 관계 복원의 물꼬를 트겠다는 계획이었으나, 일본 측은 한국과의 회담에 소극적으로 나선 것은 물론 독도 문제까지 들먹이면서 갈등의 골을 더 깊게 만들었다.
G7 정상회의는 자국만의 민주적 절차를 가진 개별 주권국가들로 구성되어 있어 실제로 통과시킬 수 있는 법은 없으나 어떤 결정들은 단기적 그리고 장기적으로 국제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G7은 그동안 세계에서 가장 큰 두 나라인 인도와 중국을 제외시킴으로써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을 받은 적도 있다.
G7 정상들은 이날 영국 콘월에서 막을 내린 정상회의 공동성명에서 홍콩 민주화 세력 탄압과 신장위구르 자치구 소수민족 강제노역, 대만과의 갈등 등을 거론하며 대중 공세를 폈다. 중국은 이에 대해 자국에 대한 내정간섭을 용납할 수 없다면서 중국의 이익이 침해당하면 단호히 반격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G7이 글로벌 경제의 공정하고 투명한 운영을 저해하는 중국의 비시장 정책(시장 원리에 다르지 않고 가격을 정하는 경제 체제)을 문제삼은 것과 관련해서도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 지적”이라고 쏘아붙였다. 특히 G7은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중국의 거대 경제권 구상인 ‘일대일로’에 대응해 새로운 글로벌 인프라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로도 협의했다.
한편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제공하겠다는 주요 7개국(G7) 약속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 세계보건기구는 “G7 국가들이 코로나19 백신 공동 구매 또는 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 코벡스를 통해 백신 8억7,000만 회분을 기부하겠다고 한 발표를 환영한다”라는 메세지를 전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