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국민들에게 코로나19 예방접종 권한을 위임한 두 개의 약국 체인들이 백신 보관 및 접종 과정에서 가장 많은 백신 선량을 낭비한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미국 최대 의료재단 ‘카이저 파운데이션(Kaiser Foundation)’은 최근 미국 내에서 발생한 코로나19 백신 대량 허비의 책임이 연방정부로부터 백신 접종을 위탁받은 대형 약국체인 CVS와 월그린스(Walgreens)에 있다고 보도했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자료 발표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한 지 약 3개월 만인 지난 3월 말 기준, 미국 전역에서 폐기 처분된 것으로 보고된 백신은 총 18만 2천 874회분이다. 조사 결과 CVS가 백신 낭비율의 거의 절반을 차지했고, 월그린스가 2위인 21퍼센트로 두 약국 체인에서 버려진 백신 물량을 합하면 12만 8천 500회분, 즉 전체 폐기량의 70퍼센트가 넘는다.
질병관리본부는 이 두 곳의 회사들이 낭비한 백신 선량이 미 연방 기관과 주정부들의 백신 낭비율을 합친 것보다 더 많다고 전했다. 보건 전문가들은 백신의 폐기 사유로 약병 파손, 저장고 오작동, 보관상 오류, 유효기간 만료 등이 있다며 화이자 백신은 개봉 후 6시간 이내에, 모더나 백신은 11시간 이내에 사용해야 한다고 전했다.
(사진 Walgreens) (사진 CVS Pharmacy)
특히 버려진 물량의 60퍼센트 이상은 화이자 백신이다. 미국에서 가장 먼저 긴급사용 승인이 떨어져 작년 12월부터 접종이 시작된 화이자 백신은 초저온 상태로 보관되어야 하며 병당 약 5명에서 7명이 맞을 수 있다.
질병관리본부 대변인은 “백신 보관과 핸들링에 관련한 까다로운 조건들 때문에 어느 정도 버려지는 양이 있을 것으로는 예상했다”며 “두 약국 체인에서 가장 많은 백신이 낭비된 것은 초기 배포 계획이 잘못되었거나 관리 부실이 이유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질병관리본부의 자료에서 왜 두 체인이 주와 연방 정부 기관들보다 훨씬 더 많은 백신을 낭비했는지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조사에 착수중이지만 두 회사들의 강력한 반발로 지연되고 있다. 월그린스 측은 “버려진 물량은 우리가 지난 3월 29일까지 접종한 전체 백신 800만 회분의 0.5퍼센트도 되지 않는다”며 “가급적 버려지는 양을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일각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CVS와 월그린스 등에 크게 의존해 장기요양시설 주민들과 직원들에게 백신을 접종한 롤아웃 초기 부실 계획을 지적하고 있다. 미 캘리포니아 롱텀 케어 의학 협회의 마이클 와서먼 전 회장 및 박사는 기업들의 백신 접근 방식이 너무 제한적이어서 장기적인 시설 수요에 대한 생소함이 백신 보급을 위한 노력에 해가 되었다는 점을 꼬집었다. “CVS와 월그린스는 양로원의 시스템이나 의료 기록 등을 잘 알지 못해 부실한 백신 관리로 적절한 시점에 백신 접종을 놓침으로서 많은 환자들이 사망에 이르기도 했다”고도 지적했다.
현재 공중 보건 전문가들은 백신이 현지 얼마나 낭비되고 있는지, 어디에서 낭비되고 있는지, 누가 낭비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기록 및 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낭비되는 백신들로 인해 가장 백신접종이 필요한 이들이 접종을 맞지 못하는 최악의 사태가 발생하면 안된다고 당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