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일, 6월 7, 2023
Home 오피니언 제6장 E-1, E-2, E-3, H-1B, L-1, O-1, TN비자 종료 후 미국체류

제6장 E-1, E-2, E-3, H-1B, L-1, O-1, TN비자 종료 후 미국체류

Options for Nonimmigrant Workers Following Termination of Employment

E-1, E-2, E-3, H-1B, L-1, O-1, TN 비자 및 동반자(배우자와 21세 미만의 자녀)의 체류신분은 비자에서 정의한대로 취업 하지 않게 되면 비자의 유효기간은 종료 됩니다. 우리 교민이 많이 소지한 E-1, E-2, H-1B, L-1 비자의 경우 사업의 운영(E-1, E-2)이 어렵게 되거나, 직장(H-1B, L-1)을 그만 두게 되거나 다닐 수 없게 된 경우 그 순간부터 당사자 와 동반자 비자의 유효기간은 종료됩니다.

위와 같이 비자 유효기간이 종료되는 경우 미국이민법은 아래와 같은 내용을 허락하고 있습니다.

1. 최장 60 유예기간 (8 CFR 214.1(l)(2))   

E-1, E-2, E-3, H-1B, L-1, O-1, TN 비자 및 동반자(배우자와 21세 미만의 자녀)에게는 비자 유효기간 종료 후 최장 60일 간의 유예기간이 허락됩니다. 만일 유예기간 60일 이전에 승낙된 유효기간 (authorized validity period)이 만료된다면 유예기간은 유효기간이 만료되는 시점에서 종료 됩니다.  유예기간 동안 허락되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다른 직장에서 H-1B를 신청해 줄 경우 비이민비자 체류신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체류신분 변경신청이 가능하며 신청한 서류가 승낙되는 경우 비이민비자 체류신분을 유지한 것으로 합니다.
  • 새로운 사업체를 시작하여 E-1또는 E-2 체류신분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 합니다.
  • 자격이 되는 경우, 영주권 신청이 가능합니다.
  • 유예기간 이내에 위에서 설명한 다른 대안이 없으면, 유예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미국을 떠나야 합니다.

유예기간동안 이민국허락없이 취업 하는 것은 불법 취업입니다.

2. 체류신분 변경 체류기간 연장

비이민비자에는 약 30가지 종류가 있으나 여기에서는 한국국민이 비이민비자로 미국에 입국하여 가장 많이 활용하는 체류신분 변경제도 및 체류기간 연장제도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만 설명합니다.  설명하는 내용이 실제상황에 응용되기 위해서는 이민법 전문변호사의 보충설명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1) 단기 취업비자 체류신분으로 변경:  학사이상의 학력소지자가 같은 전공을 필요로 하는 전문직에 취업한다면 단기취업비자인 H-1B비자로 체류신분 변경이 가능합니다. H-1B비자 체류신분은 처음 신청할 때 최장 3년간의 체류기간이 허락될 수 있으며 체류기간 연장을 포함하여 최장 6년까지 H-1B 비자 체류신분으로 미국에 체류할 수 있습니다. H-1B 비자 체류신분으로 미국에 체류하는 동안 취업이민을 위한 과정에 있다면 6년 이상의 체류신분 연장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2) 종교관련종사자 (또는 종교관련 단기취업비자) 체류신분으로 변경:  소속된 종교단체에 반드시 필요로 하는 종교관련종사자는 R-1비자로 체류신분 변경이 가능합니다. R-1비자 체류신분은 처음 신청할 때 최장 3년간의 체류기간이 허락될 수 있으며 체류기간 연장을 포함하여 최장 5년까지 R-1비자 체류신분으로 미국에 체류할 수 있습니다.

(3) L-1비자 체류신분으로 변경:  한국위치한 회사의 직원이 미국에 위치한 지사로 전근하는 경우 L-1체류신분으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처음에는 최장 3년간의 체류기간을 허락 받을 수 있으나 신설된 회사의 경우 처음에는 1년간의 체류기간을 허락 받을 수 있습니다. 체류기간 연장은 한 번에 최장 2년간의 체류기간연장이 가능하며 경영직의 경우는 최장 7년동안, 전문직의 경우에는 최장 5년 동안 L-1체류신분으로 미국에 체류할 수 있습니다.

(4) E-1비자 체류신분으로 변경:  미국을 주요 대상 국가로 하는 실질적인 무역 업무를 하기위한 한국에 위치한 상사의 미국주재원은 E-1체류신분으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처음에 2년간의 체류기간이 허락되며 계속해서 2년씩 체류기간 연장이 가능합니다.

(5) E-2 비자 체류신분으로 변경: 상당량의 자본을 미국에 투자하거나 또는 투자중에 있는 기업을 직접운영 또는 확장하기 위한 투자자는 E-2체류신분으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처음에 2년간의 체류기간이 허락되며 계속해서 2년씩 체류기간 연장이 가능합니다.

(6) 방문비자 체류신분으로 변경: 미국에서 체류목적을 달성하고 한국으로 돌아가기 위한 준비 기간에는 방문비자 체류신분자격인 B-2 체류신분으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처음에 최장 6개월의 체류기간이 허락되며, 이민법에서 허락하는 특별한 사유가 설명된다면 계속해서 체류기간 연장이 가능합니다.

(7) 학생비자 체류신분으로 변경: 이민국에서 승낙한 학교에 입학한다면 학생비자 체류 신분인 F-1 또는 M-1 체류신분으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학교에서 발행하는 I-20가 유효한 기간동안 F-1(또는 M-1) 체류신분은 유효합니다.

3. 주의사항    

체류신분 변경이나 체류신분 연장을 계획하고 있다면 아래에 설명하는 내용은 반드시 점검해야 합니다.

(1) 체류신분 변경 과 체류신분 연장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 해야 합니다.

(2) 계획한 체류신분 변경이 이민법상 본인이 현재 처한상황에 적용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3) 목적한 체류신분변경 이나 체류신분 연장을 승낙 받을 때 까지 합법적인 미국체류신분을 유지하는 것이 본인에게 유리합니다.

(5) 학생비자체류신분을 취득하길 원하는 경우, 학교마다 학기에 따른 I-20 발행하는 시점이  서로다르며, 발행된 I-20에 따라 학교에 보고하는 날짜와 체류신분변경이 가능한 기간은 서로 연관 관계가 있음을 유념해야 합니다.

(6) E-2, E-1, F-2, H-4, R-3, L-1 등 미국체류신분이 부모의 미국체류신분에 종속된 자녀들은 만 21세 까지  미국에 체류할 수 있는 체류신분을 독립적으로 취득해야 합니다.

(7) 이민법에 정의 된 비자가 발급될 수 없는 범죄행위에 연루되지 말아야 하며 비자가 발급될 수 없는 유형의 이민법 위반 사항(불법취업 등) 이 없어야 합니다.

(8) 유효한 여권을 소지해야 합니다.

(9) H-1B 신청은 노동국의 Labor Condition Application 기간, 현재 체류신분의 유효기간, OPT를 소지한 경우 유효기간 연장 가능성 등 이 모두 고려되어야 합니다.

(10) 허락된 기간을 초과하여 미국에 거주하거나 허락된 체류신분에 관한 이민법 규정을 위반하면 이민법에 정의된 불법체류(Unlawful Presence) 또는 불법신분(Unlawful Status) 처벌규정에 따라 처벌대상자가 됩니다.

/끝/

자료제공:  RLimmigration P.C. | Law Offices Of Rita R. Lewis | 이민법전문법인

Tel: 720-998-3885 카카오톡 | www.RLimmigration.us | 7535 E. Hampden Ave., Suite 501, Denver, CO 80231

Sponsor: EQUAL LEGAL ACCESS, Non-Profit Organization, www.ELegalAccess.org 

coloradotimeshttps://coloradotimesnews.com/
밝고 행복한 미래를 보는 눈, 소중한 당신과 함께 만듭니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이메일을 남겨주세요. 중요한 최신 소식을 보내드립니다.

콜로라도 타임즈 신문보기

Most Popular

예다움, “추억의 향기가 물씬 나는 7080연주회에 초대합니다”

"Reminisence Again 2023' 회상 지난 3일 토요일, 예다움 음악학원(원장 한혜정)에서는 학생들이 모여 오는 11일에 열리는 콘서트를 위한 연습이...

콜로라도 문우회 수필교실 소개

삶에 지치면 솔숲에 혼자 들어가 보십시오. 시간의 행간을 읽을 수 있습니다. 청량한 기운이 어떠한 위로보다 포근히 다가옵니다. 청량감은 상쾌하다 못해 황홀할 것입니다....

뉴욕 공기가 뉴델리 수준…미국까지 뒤덮은 캐나다 산불 연기

'자유의 여신상' 안보여…美 동부에서 중서부까지 대기오염 경보  7일 아침 미국 뉴욕의 출근길과 등굣길에는 한동안 볼 수 없었던 마스크가 다시...

美 4월 무역적자 23% 급증…6개월 만에 최대 규모

미국 상무부는 4월 상품·서비스 등 무역수지 적자가 746억달러로 전월보다 23% 급증했다고 7일 밝혔다. 미국의 무역 적자는 지난해 10월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