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호에 이어)
빨리 빨리에 익숙해진 한인분 들에게서 재정/은퇴 상담시에, 사고 방식 전환의 필요성을 설명할 때 가끔 듣는 이야기 입니다. 특히 생계를 위해 열심히 일했던 재산 형성기 (Accumulation Period, 25-55 세) 에서 은퇴를 앞둔 재산 분배기 (Distribution Period 50-85 세) 의 전환 기에 선 분들에게서 더 많이 듣습니다.
한인 분들 중에는 “산 입에 거미줄 치랴? 먹고 죽을 돈도 없다.” 를 아직 기억하시고 수동적으로 대응하는 분도 계신 반면, Covid 의 Mortgage저금리(2.5%) 시기와 지금의 Mortgage고금리 (8%) 시기를 각 전문가와 (웅자, 부동산, 은행, 보험 및 재정 상담사)의 상담을 거쳐 관련된 기법과 다양한 금융 상품등을 통해 (Refinancing, Short Term CD, MYGA , Treasury I Bond and MMA) 변화에 따른 이익 창출의 기회로 삼는 분도 뵈었습니다.
아는만큼 누리고, 뛰지 않으면 꼴찌도 할 수 없습니다. 계획, 예약 그리고 규정이 있는 미국 사회와 직관, 순발력 그리고 상식이 있는 한국,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이민자. 따라서 항상 보정 과 절충을 하시지 않으면 손해보실 수 있습니다. 젊을땐 사업이 실패해도 다시 일어날 수 있지만 실패한 은퇴는 복구할 시간이 없기 때문 입니다
게다가 미국의 사회제도 (세금, 연금, 물가 그리고 관련 규정) 와 문화영향 아래 한국의 사고 방식을 품고 사는 한인 이민자 에게 미국에서의 은퇴문화는 차이가 있어, RV Car, 요트와 별장 (Second House) 그리고 사후 기증이 중요한 목표인 이웃집 미국인Robert 나 Steve에게 물어 볼 수가 없습니다. 그렇다고 나와 생활 수준이 다른 친한친구 김씨와 박씨에게 내 재정상황을 풀어 놓고 상의하기에는 사실상 한계가 있고, 영어가 능통해서 의지했던 자녀들은 변호사/의사 가 되어도 뭔가 부족한 같고 혹여 후일의 재산 분배에 갈등이 있을까 아직 상의 하기에는 이르기도 하고.
아래의 재정/은퇴와 관련한 제도와 숫자및 정보가 향후 결정 하시는데 (Informative Decision) 길잡이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또한 차후 설명 드릴 은퇴 수입의 기본요소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미국의 은퇴연령
- 재정 상담사 관점에서 보는 연령대별 재정 시기
재산 형성기 (Accumulative) 20-50세
재산의 보수적 운용시기 (Conservative ) 40-70세
재산 분배기 (Distributive) 50-80세
*미국 평균 은퇴 준비 연령 42세 (상속에 대비한 준비, 보험 연금의 재확인, 은퇴 대비한 투자 Portfolio 재정비)
*미국 은퇴연령: Social Security benefit 를 수령하는 65세에서 66세 사이에 분포 - 미국 노동시장 참여율 변화 추세
짐작 하시다 시피 2014 (실적) 에서 2024년 (예상) 통계에 따르면 전 연령층에 걸친 노동시장 참여 상승율은 5%에 그친 반면 65세에서 세 까지의 경우 55%에 달하며, 75세 이상의 경우는 그 상승율이 무려 86%에 달합니다.
어떠한 형태로든 은퇴연령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사회시스템 전반에 걸쳐 영향 (사회 보장연금 지급 금액의 감소, 소득세율의 인상, Medicare 부담액의 인상, Secure 2.0 등)을 미치고 있습니다. 해당 변화를 반영하지 않은 계획은 자칫 낭패를 볼 수 있으므로 본인 스스로 재정및 은퇴 계획을 세우시는 분들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은퇴 수입 가치 하락 요인
- 인플레이션 : 화폐 가치 (구매력)의 하락. 지금보유한 $1Million 과 저축 혹은 투자해서 받을 미래의 $1Million 은 다릅니다.
평균 인플레이션율로 지속된다는 가정하에 아래와 같이 40 년 후의 $1Million 의 가치는 $306,560 으로 현재 대비 30% 밖에 유지하지 못합니다. 은퇴는 기본적으로 20-40년 기간이므로 인플레이션에 따른 구매력의 하락은 상당합니다. 즉 인플레이션을 감안한 은퇴수입의 산정을 하셔야 은퇴후 생활 수준의 심각한 타격을 피할 수 있습니다
Today $1,000,000
10 Years Later $744,090
20 Years Later $553,680
30 Years Later $411,990
40 Years Later $306,560
*실질 수익율 (Real Rate of Return considering inflation):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수익율 감소를 보여 줍니다. 17% equity investments nominal return and an applicable 3% Inflation Rate 실질 수익율: (1+Nominal Rate of Return)/(1+Inflation Rate) -1
= (1+0.17)/ (1+0.03) -1 = 0.14 (14%)
예시와 같이 인플레이션으로 인해18% (From 17% to 14%) 의 수익율 감소가 발생합니다. <다음호로 계속>
구본성 Bonkoo0714@gmail.com
・ 고려대학교 경영학 석사 (MBA)
・ 해외 기술 수출및 해외합작사 설립, 국내외 인수 합병 업무
・ 연방 세무사 (Enrolled Agent, IRS)
・ 투자 상담사 (Investment Advisor, Licensed Series 65)
・ 보험 설계사 (Licensed Life Insurance Provider)
・ 미 재정 설계사 (CHFC to CFP) 과정 2년차 ACFS in Philadelphia USA
*정보전달과 공유가 목적이고 투자 조언이 아며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