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어느 부잣집 대문 앞에서 하루는 누군가가 주인을 부르고 있었다. 집주인이 나가서 대문을 열어보니 좋은 향기를 풍기는 절세의 미인이 서 있는 것이었다. 누구냐고 묻는 주인에게 그 여인은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 저는 공덕천(功德天)이라고 하는데 제가 찾아드는 집에는 금은보화와 온갖 영예를 선물로 가져다드리고 있습니다.”
이 말을 들은 주인은 그 여인을 기쁜 마음으로 정중히 모셔 들였다. 그러자 곧이어 다시 대문에서 부르는 소리가 들리는 것이었다.
주인이 나가 문을 열어보니 이번에는 보기에도 흉측하기 짝이 없는 데다가 고약스런 냄새까지 풍기는 한 추녀(醜女)가 서 있는 것이었다.
주인은 절로 인상이 찌푸려졌지만 그래도 누구냐고 물었다.
“ 저는 어느 집이든 들어가기만 하면 그 집의 재산과 명예를 싸그리 앗아가는 흑암녀라고 합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기분이 나빠진 주인은 흑암녀를 들어오지 못하게 막고 멀리 꺼지라고 말하며 대문을 닫으려고 하였다. 그러자 흑암녀는 이어서 말을 하였다.
” 당신이 방금 전에 반갑게 집으로 모셔 들인 그 공덕천녀는 다름 아닌 나의 언니로 우리 두 사람은 언제나 함께 다니고 결코 떨어질 수 없는 자매랍니다. 그러니 나를 내쫓으려면 내 언니를 먼저 쫓아내어야 합니다.”라고 말하는 것이었다.
이 말을 들은 집주인은 잠시 생각해보고는 먼저 모셔드렸던 반가운 손님 공덕천을 얼른 내보냈다고 한다.
사람들이 바라는 세상적인 바램, 즉 성공과 재물, 명예는 들어올 때의 기쁨 속에는 인연이 다하여 나갈 때의 괴로움도 함께 있기 마련이라는 진리를 가르쳐주고 있다.
평화로운 마음을 갖고자 한다면 탐하고 원하는 마음을 갖지 말라고 한다.
생각도 들었다가 사라지고 느낌도 왔다가 가듯이 권력과 명예, 그리고 물질도 왔다가 간다. 우리 인생사의 괴로움의 원인은 바로 이 구하는 마음에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구하라 그리하면 얻을 것이요, 두드리라 그리하면 열릴 것이니라,” 하는 말이 있지만 구해서 얻어봤자 사라지는 것은 순식간이고 두드려서 열렸다 한들 닫히는 것도 한순간이다. 그럼 계속 구하고 두드리기를 반복해야 하는데 그 얼마나 고단하고 피곤한 일인가.
6조 혜능 대사가 지나가는 스님으로부터 금강경 제10품 장엄정토분의 이 대목을 듣고 홀연히 깨닫는 바가 있어 출가하게 되었다는 일화로 유명한 구절이 있다.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 而生其心). 머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내라는 뜻이다. 구하되 결사적으로 구하지 말 것이며 두드리되 열릴 때까지 목숨 걸고 두드리지 말라는 말일 것이다.
세 번 해보고 안 되면 다른 길이 찾아보는 것도 좋다. 세 번 말했는데 듣지 않으면 그냥 놔두는 것이 좋다.
우리 주변의 물질적인 것이든, 우리 몸 자체든, 스스로의 생각이든 일체 마음의 집착에서 벗어나 있는 그대로 생활하려는 자세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