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일, 11월 28, 2023
Home 뉴스 국제 뉴스 외환보유 세계 4위라더니…경제제재에 휘청이는 러시아

외환보유 세계 4위라더니…경제제재에 휘청이는 러시아

보유 외환 3분의 2는 외국 은행에 보관…루블화 방어 실탄 부족

(뉴욕=연합뉴스) 고일환 특파원 =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경제가 국제사회의 제재에 예상보다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28일(현지시간) 세계 4위에 해당하는 6천310억 달러(한화 약 752조 원)의 외환보유고를 지닌 러시아의 루블화가 국제사회 제재에 곧바로 폭락한 배경을 분석했다.

러시아는 당초 충분한 외환보유고를 바탕으로 외부의 경제 제재에 어느 정도 버틸 수 있는 기초 체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정작 국제사회가 러시아 은행들을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 결제망에서 배제하기로 하는 등 제재의 수위를 높이자 루블화의 가치는 역대 최저수준으로 하락했다.

러시아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9.5%에서 20%로 대폭 인상했지만, 금융시장의 불안은 계속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러시아의 금융시장이 급격하게 출렁이는 이유는 장부상의 외환보유고와 실제 외환보유고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스탠퍼드대 후버연구소의 마이클 번스탬 연구원에 따르면 6천310억 달러의 보유 외환 중 러시아 중앙은행이 현재 손에 쥐고 있는 120억 달러(약 14조5천억 원)에 불과하다.

이어 중국 국채로 보유한 외화 자산이 840억 달러(약 101조 원)이고 금으로 보유한 자산은 1천390억 달러(약 167조4천억 원)다.

보유 외환 중 3분의 2에 육박하는 4천억 달러(약 482조 원)는 뉴욕과 런던, 베를린, 파리, 도쿄 등 외국의 금융기관에 보관돼 있다. 이는 불안정한 루블의 가치를 담보하고, 러시아의 수출입 거래의 편의를 위한 조치다.

다만 외국 은행에 예치된 러시아의 외화자산은 국제사회의 제재 위험에 그대로 노출돼 있다. 국제사회가 금융제재를 통해 러시아 중앙은행이 외국 은행의 외화자산을 동결할 경우 4천억 달러라는 거액이 묶여버릴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실(OFAC)은 러시아 중앙은행이 미국에 소유하고 있는 모든 자산을 동결했다. 물론 러시아 중앙은행은 중국 국채 중 일부를 현금화하거나, 보유 중인 금을 매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중국 국채를 현금화해 위안화를 확보한다고 해도 현실적으로 중국의 상품 외에는 살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것이 문제다. 또한 당장 러시아의 금을 매입하려는 희망자를 찾는 것도 만만치 않은 과제가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에 따라 러시아 중앙은행 입장에선 루블화의 가치를 방어하기 위해 쓸 수 있는 외화는 120억 달러에 불과한 상황이다.

러시아가 이날 러시아 무역업자들에게 외화 수입 80%를 매각하도록 강제하는 조치를 내린 것도 러시아의 다급한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 국방대학의 로버트 퍼슨 교수는 “루블화가 붕괴할 경우 심각한 인플레이션과 경제 불황을 불러올 수 있다”며 “예상보다 상황이 훨씬 심각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coloradotimeshttps://coloradotimesnews.com/
밝고 행복한 미래를 보는 눈, 소중한 당신과 함께 만듭니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이메일을 남겨주세요. 중요한 최신 소식을 보내드립니다.

콜로라도 타임즈 신문보기

Most Popular

미국 ‘블랙 프라이데이’ 온라인 매출 12조8천억원 ‘신기록’

연말 시즌 부진 전망 속 '긍정적 신호' 미국의 최대 쇼핑 대목인 '블랙 프라이데이'의 올해 온라인 매출이 사상 최대치를...

대학교수 꿈꾸던 15세 소녀, 장기기증으로 5명 살리고 하늘로

이예원 양, 심장·폐·간·좌우 신장 기증 김잔디 기자 = 대학교수를 꿈꾸던 15세 소녀가 급작스러운 뇌사 상태에 빠진 뒤 장기기증으로...

시프린, 알파인 월드컵 스키 사상 최초로 90회 우승 달성

미케일라 시프린(미국)이 국제스키연맹(FIS) 알파인 월드컵 사상 최초로 90승 고지에 올랐다. 시프린은 27일(한국시간) 미국 버몬트주 킬링턴에서 열린 2023-2024시즌 FIS 알파인...

WHO “인구 절반, 기후변화에 매우 취약…노인 폭염사망↑”

안희 특파원 = 세계보건기구(WHO)가 가뭄과 홍수, 폭염 등 기후변화가 초래하는 악영향에 세계 인구 절반가량이 매우 취약한 상태라며 대책을 논의할 때 건강 문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