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젊은 사형수가 있었다. 사형을 집행하던 날 형장에 도착한 사형수에게 최후의 5분이 주어졌다. 28년을 살아온 사형수에게 주어진 최후의 5분은 너무나 소중한 시간이었다.
마지막 5분을 어떻게 쓸까? 그 사형수는 고민 끝에 자신을 알고 있는 모든 이들에게 작별 인사와 기도를 하는데 2분, 지금까지 살아온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그동안 인도해주신 하나님께 감사하는데 2분, 최후의 1분은 눈에 보이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마지막 순간까지 서 있도록 받쳐준 땅에 감사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흐르는 눈물을 삼키며 가족들과 친구들을 생각하고 작별 인사와 기도를 하는데 벌써 2분이 지나 버렸다. 그리고 자신의 삶을 돌아보려는 순간 “이제 3분 후면 내 인생도 끝이구나!”라는 생각이 들자 눈앞이 캄캄해졌다. 지나가 버린 28년이란 세월을 아껴서 사용하지 못한 것이 정말 후회되었다.
“아~~~! 다시 한번 인생을 살 수만 있다면….” 하고 회한의 눈물을 흘리는 순간 기적적으로 사형집행 중지 명령이 내려와서 간신히 목숨을 건지게 되었다고 한다. 구사일생으로 풀려 난 그는 사형집행 직전에 주어졌던 최후의 5분을 생각하며 평생 ‘시간의 소중함’을 잊지 않고 하루하루, 순간순간을 최후의 5분처럼 생각하고 한순간도 시간을 헛되이 사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러시아의 유명한 소설가 도스토예프스키였다. 그렇게 시간을 아껴서 죄와 벌, 카라마조프 형제들, 영원한 만남 등 불후의 명작을 발표하였고 세계 문학사에서 가장 위대한 소설가라는 명성을 얻었다.
이처럼 시간이 소중하다. 세계적으로 큰 업적을 남긴 사람들은 모두 시간을 아껴서 사용한 사람들이다. 한 가지 일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면 전문가가 될 수 있다는 의미로 ‘1만 시간의 법칙’ 혹은 ‘10년의 법칙’이 있다. 하루 3시간씩 10년 동안 투자하면 1만 시간이 되는데, 이 법칙에 숨어있는 한 가지 원칙은 반드시 하루에 3시간씩 투자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루에 3시간씩 시간을 내려면 시간을 아껴서 사용하지 않고는 할 수 없는 일이다.
평생 시계를 만드는 장인으로 살아온 사람이 있었다. 그는 아들이 성인이 되던 날 자신이 직접 만든 시계를 선물하였는데, 시침은 동, 분침은 은, 초침은 금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시계를 받은 아들이 굵은 시침을 금으로 만들고 가는 초침을 동으로 만들어야 하지 않느냐고 물었다. 그 질문에 아버지가 “초가 가장 귀하기 때문에 초침을 금으로 만들어야 한다”라고 대답하였다. 그리고 “1초를 잃는 것은 모든 시간을 잃는 것이다” “1초를 아끼지 않는 사람이 어떻게 1시간을 아낄 수 있겠느냐”고 하면서 이제 성인이 되었으니 1초도 소중하게 생각하고 살아가기 바란다고 당부하였다.
우리는 시간을 아껴서 사용해야 한다. 그런데 시간이 무엇일까? 1분, 2분…. 1시간, 2시간… 이것이 시간일까? 시계가 없다고 시간이 흘러가지 않는 것은 아니다. 1분, 2분…. 1시간, 2시간… 이러한 단위가 없어도 시간은 흘러가고 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은 시간이 흘러가면서 보여주는 현상일 뿐, 시간 자체는 아니다.
물리학자들에 의하면 “시간이 무엇인지 잘 모른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간의 본질과 정체가 무엇인지 모른다고 한다. 그러나 “시간의 시작점이 있다” “시간의 길이는 절대적이지 않다”는 2가지는 알 수 있다고 한다.
시간의 시작점은 시간이 처음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는지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 세상의 모든 것은 존재의 원인이 있다. 모든 사람은 부모가 있었기 때문에 이 세상에 존재하게 되었고, 모든 물건은 만든 사람이 있기 때문에 존재한다. 시간은 창조주가 만들었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이다. 성경은 시간의 시작점을 “태초(in the beginning)”라고 기록하고 있다.
그렇다면 “시간의 길이가 절대적이지 않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 한 시간은 60분이고 하루는 24시간이다. 시간의 물리적 길이는 항상 일정하고 변하지 않는다. 그런데 “시간의 길이가 절대적이지 않다”는 말은 시간이 누구에게나 똑같은 길이로 적용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어떤 날은 정신없이 빨리 가지만 어떤 날은 천천히 가는 것처럼 느껴진다. 시간의 길이가 절대적이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느껴지는 것이다.
어떻게 하면 시간이 천천히 흘러서 흐르게 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24시간 하루를 26시간처럼 사용할 수 있을까? 시간이 천천히 흘러서 매일 2시간씩 더 사용하여 1년 동안 저축하면 무려 700시간이 넘게 쌓인다. 하루 8시간씩 90일 정도의 시간을 버는 셈이다. 1년을 12개월로 사용하는 사람과 15개월로 사용하는 사람 중에 누가 더 알차게 살 수 있을까?
첫째,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워야 한다. 오늘 해야 할 일과 이번 주에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적어야 한다. 적을 때는 디지털 도구보다 손 글씨가 좋다. 손으로 쓰는 동안 머리속에서 재배치하는 과정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무엇을 할 것인가 기록하는 순간 이미 우리의 뇌에서는 조준해야 할 과녁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정해지기 때문이다.
둘째, 규칙을 만들어야 한다. 일하는 동안 큰 규칙, 작은 규칙을 세워서 큰 규칙은 장기간의 계획에 적용하고, 작은 규칙은 단기간의 계획에 적용한다면 훨씬 더 효율적이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SNS는 하루에 2번만 확인한다” “개인용 e-mail은 아침에 1번만 열어 본다”와 같은 규칙을 세우면 특별한 일이 없는 한 그 규칙을 지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자투리 시간을 잘 활용해야 한다. 성공한 사람들이 보여주는 공통점 중에 한가지는 자투리 시간을 알차게 활용한 것이라고 한다. 사람을 만나기로 했는데 상대방이 한 시간 늦는다고 연락이 왔거나, 차가 밀릴것으로 생각하고 일찍 출발했는데 예상보다 빨리 도착했을 때의 자투리 시간을 의미 있게 활용하면 그 시간은 자투리 시간이 아니라 본래 시간이 된다.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을 천천히 흐르게 하므로 24시간 하루를 26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reationisfact@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