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는 2015년부터 새로이 바뀌어서 총 1,520점 만점입니다.
PSAT는 11학년 올라와 처음 공식적인 시험으로 매년 약 22,000개 미국 고등학교 전역 350만 명의 학생들이 신청합니다.
그중 16,000명의 11학년 학생들이 Semifinalist로 선발되며 선발된 학생들은 Finalist가 되기 위해 장학금 신청서를 작성합니다. 10월에 시험을 보면 12월쯤 결과가 나오며 Semifinalist에 들었다는 연락을 받습니다.
Semifinalist의 자격을 얻으면 대학지원서에 Semifinalist라고 써넣을 수 있고 대학들은 이 학생들을 주목하게 됩니다.
전 미국에서 상위 1% 이내만 얻을 수 있는 Finalist가 되면 미국 내 상위 대학들이 장학금 제의를 먼저 해올 만큼 인정을 받고 대학 입시에 그만큼 주목을 받게 됩니다.
Finalist가 되기 위해선 application form을 작성하며 과외활동, 수상 경력, Leadership 활동을 자세히 나타나는 에세이를 요구합니다.
새로 개정된 PSAT는 8, 9학년도 시험에 응시하게 되어있습니다. PSAT 시험으로 8, 9학년은 봄과 가을에 학교에서 하루를 선택하여 학교 에서 치러집니다. 9학년 학생의 경우 이 시험을 통해 AP 세계사나 AP 유럽 사를 들을 수 있는지 생각할 수 있습니다. 선택적인 시험으로 대학 준비를 하는 고등학생이라면 꼭 치러 보아야 할 시험입니다.
중학생인 8학년부터 9, 10, 11학년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PSAT를 치르겠다는 의사를 카운슬러에게 말하도록 부모님들께서 도움 을 주십시오.
PSAT는 10월 중에 대부분 고등학교에서 치러집니다. 많은 학생은 PSAT 를 11학년 10월에 치르고 나서야 자신이 대학진학을 위한 중요한 시기에 있다는 것을 깨닫기도 하며 PSAT를 치른다는 것은 여러 의미가 있습니다. 10학년 때는 예비로 PSAT를 치르는 것이며 11학년 때 치르는 PSAT가 실 지로 대학입시 장학금에 적용됩니다.
PSAT 시험이 NMS(National Merit scholarship) 내셔널 장점 스칼러 십을 위한 선발 고사 이기도 합니다.
대입지원을 1년 정도 남겨두고 조금 늦기는 하지만 내가 대학입시 준비를 하고 있다는 자극을 받을 많은 학생에게 꼭 필요한 시험입니다. 시험 준비를 많이 한 학생은 PSAT를 치른다는 것은 대입준비의 전쟁이 막 바지라는 것을 느끼게 해줍니다.
주립대학은 대학 입시에서 GPA 성적 반영을 할 때 10학년에서 12학년 초까지의 성적을 사립대학은 9학년에서 12학년 초까지의 성적을 보기 때문 입니다.
PSAT는 SAT의 모든 과목이 들어있고 약간 짧은 시험 문제로 구성되어 있 으며 SAT의 예비시험으로 Reading 47문제 (60분), Writing 44문제 (35분), Math(No Calculator) 17문제 (25분), Math(calculator) 31문제 (45 분)로 이루어져 있으며 2시간 45분 동안 치러집니다.
영어는 물론 문법 수학에서조차도 이해력 없이는 풀 수 없는 문제들이 많아 독해가 약한 학생들은 불리할 수 있습니다. 미국 역사 독립선언문, 권리장전, 에드먼드 버크 등의 연설문을 자세히 읽 어보길 권합니다.
독해는 고전 또는 현대 문학 및 문서의 구절이 포함되며 해당 지문의 의미 를 분석하거나 결론을 표출하라는 내용이 많습니다.
지문의 범위는 고전문학 외에 경제학, 사회학, 심리학, 사회과학 분야, 지 구과학, 생물학, 화학, 물리학 등 다양합니다.
지문에서 해석하는 단어의 의미, 증거 분석 및 해석능력을 파악할 수 있 는 질문들이 출제됩니다.
수학은 45분과 25분 동안 치르는데 짧은 섹션은 계산기를 허용하지 않습 니다. 개념이해를 위한 문장체 문제 비중이 높아져 공식을 잘 이해하고 있 어야 답을 풀 수가 있습니다. 문제 해석, 문제 데이터 분석, 대수학, 기본공 식 등을 묻습니다.
NEW PSAT는 기존 PSAT와는 전혀 다른 형태의 문제들이므로 실제 시 험 이전에 연습문제를 많이 풀어보고 문제 유형을 확인해보고 시험에 응시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모든 문제 난이도가 다르지만, 점수는 같기 때문에 문제를 순서대로 풀려 하지 말고 쉬운 문제부터 푼 후 오래 걸리는 Rhetorical Skills 문제를 푸 는 게 효과적입니다,
1번부터 차근차근 풀다 보면 마지막에 시간이 모자라는 경우가 있어 문제 를 다 풀 수 없어 안타까울 수 있습니다. 한 문제당 40초 이내로 문제를 풀어보는 연습이 필요하며 틀린 것에 감점은 없습니다.
PSAT에서 같은 점수를 받은 학생이라도 내셔널 장학금 준우승에 초대받 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아직 NEW PSAT에서 딱히 점수는 정해져 있지 않지만 1470점 이상이면 1% 정도에 해당하며 그 정도면 NMS 장학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PSAT 시험 상위 1% (약 1500여 명 정도)를 National merit scholarship finalist라 부릅니다. 많은 대학이 finalist들에게 내부 정책에 따른 여러 장학금 혜택을 줍니다.
자주 SAT 연습시험을 치러 보며 또한 PSAT 모의고사를 많이 다루어 봄 으로 자신의 PSAT 점수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SAT 연습시험을 많이 보면 PSAT는 쉽게 다를 수 있으며 PSAT는 대학 입시와 직접관계가 없고 마케팅 자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장학금을 받을 수 있 는 자료로 쓰입니다.
PSAT의 높은 점수대의 학생들은 많은 대학들로부터 러브콜을 받게 됩니다. 그러나 추후 학생이 그 대학을 지원한 후 당락을 결정할 때는 PSAT 점 수를 사용하지 않으며 대학입시 사정에서는 SAT 점수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대학입학 사정 때 그 대학에서 장학금을 얼마나 줄 수 있을지를 PSAT 점수가 많이 작용합니다.
PSAT 시험을 쳐 봄으로써 학교 시험이 아닌 SAT의 수준 시험이 어떤 수준의 것인지 알 수 있으며 그 수준으로 대학입시 준비를 시작하게 될 것입 니다. 선택적으로 치러지는 시험이지만 하나라도 더 알아야 경쟁에서 이길 수 있으므로 PSAT 테스트를 통하여 자기 실력을 쌓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할 수만 있다면 8학년 때부터 경험을 해 보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유재정 원장
• ‘미국대학 입시의 모든것’ (2018)저자
• 미국교육 칼럼리스트, SAT 입시지도 20년
• St. Mark’s School, ESL 위탁교육
• (전) CCB 학원장
• (전) First Academy 학원장
• (전) 한인학교 SAT Director
• (현)Christian Academy Dir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