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9 LA폭동 29주년, 한인타운을 지키던 민족정신 기억하기
미주 한인 이민사에서 가장 비극적인 사건으로도 기록되는 로스앤젤레스 폭동이 내년에 30주년을 맞이하는 가운데, 미 전국적으로 다양한 지역에서 한인회들이 4.29 LA 폭동 29주년을 기념하고 있다.
1992년 4월 29일 발생한 LA 폭동은 교통 단속에 걸린 흑인 청년 로드니 킹을 집단 구타한 백인 경찰 4명에서 배심원단의 무죄 평결이 내려지자, 분노한 흑인들이 도심으로 일제히 쏟아져 나와 폭력과 약탈, 그리고 방화를 저지른 사건이다. 여기에 흑인들의 분노는 당시 한인 슈퍼마켓에서 흑인 소녀가 총격으로 사망한 사건과 맞물리면서 한인 사회에 분출되었다.



이 폭동으로 약 7억 달러 이상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으며, 이 중 한인타운 피해액은 무려 절반에 달했고 한인 상점 약 2천 300여 곳들이 약탈 및 방화 피해를 봤다. 게다가 폭동을 막기위해 투입된 중무장 경찰이 백인 거주지를 위주로 보호하자, LA에 있는 코리아타운의 한인들은 보호를 받지 못하게 된다. 이에 한인들은 코리아타운을 중심으로 자체 군대를 조직해 그들의 이웃과 가족을 지키기 시작했다. 그들은 이틀만에 군대 형태의 집단을 갖추고, 샷건, 스나이퍼 라이플, 미니건 등으로 중무장했으며 한인타운 건물 옥상마다 저격수들이 배치되었다.
이 사실이 언론을 통해 알려지자 흑인들은 더이상 코리아타운 근처를 습격하지 않게 되었다. 폭동이 마무리 된 후, 당시 코리아타운 방어위원회 최고지휘자는 “한국 남자들은 모두 군대에 다녀온 군인 출신들이며 한인타운 소집 4시간 만에 지휘체계가 완성되었다”고 말하기도 했었다.



LA 한인 사회도 한인회를 주축으로 내년에 맞이하게 될 30주년까지 다채로운 행사들을 마련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지난해부터 최연소이자 첫 2세 한인회장으로 LA 한인회를 이끌어온 제임스 안 한인회장은 “지역사회에서의 인식 변화를 위해 캠페인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학교에서의 교육뿐 아니라 한인사회를 주축으로 다른 단체들과의 단결을 통해 인종차별은 근절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리고 올바른 행동을 통해 모범을 보여야 한다. 4.29 LA 폭동은 미 전 지역의 한인 커뮤니티들이 가슴 속 깊이 새기고 단결과 화합을 위해 기념해야 하는 날”이라고 말했다.
또한 “작년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으로 촉발된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 운동과 올해 아시안 증오범죄 규탄 캠페인들을 계기로 한흑 사회가 서로 더욱 연대하고 유대를 강화했다”며 “앞으로도 한흑 화합을 위한 다양한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고도 전했다. 실제로 지난 1992년의 역사적 상처를 아물고 한인 사회와 흑인 커뮤니티는 손을 맞잡고 각종 교류, 문화 행사들을 온라인 화상미팅 등을 통해 잇따라 개최하고 있다.


